Hello World

I can do it!
전세계 모든 문자를 동시에 표현 할수 있도록 만들어진 규약. 애초에 컴퓨터를 문자를 표기할때 영어권 국가만 생각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아스키코드 : 1960년대 미국에서 정의한 표준화한 부호체계이다. 128개의 고유한 값만 사용한다.) 전세계 각 나라들은 자신의 나라의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독자적인 방법을 썻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인코딩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외국에서 만든 프로그램이나 게임들은 한국어 환경에서 제대로 안보이는 경우가 있었고, 반대로 한글로 만들어진 것들은 영문 윈도우에서 제대로 표현되자 않았습니다. 그래서 전세계 수많은 기업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문제와 혼란을 한번에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되었고 그리하여 탄생된 것이 유니코드(Unicode)입니다. 그중 UTF-8이라는 방식이 가장..
JVM : 자바 가상 머신 으로 자바 프로그램 등을 컴파일 하여 만들어진 코드를 실행해주는 가상 머신. JRE : 자바 실행환경의 줄임말로 JVM에 자바 라이브러리와 기타 파일들이 결합된 자바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JDK : 자바 개발 키트의 줄임말로 JRE에 컴파일러,디버거 등 개발도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IDE : 통합 개발환경, (예 이클립스,VSCODE 등) EE : 기업용
통신 방식중 데이터를 받을 프로세스(process)가 어떤 것인지를 알아야 데이터가 제대로 전송이 되겠죠? 이때 사용하는 식별자를 Port Number(포트 번호)라 합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물건(데이터)를 어떤 사람에게 전달해준다고 합시다. 그럼 우리가 그사람의 집주소(MAC address)와 이름(IP address)를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그 사람이 그 집의 어떤 방에 있는지 모릅니다. 화장실로 전달해 달라하는건지 배란다 까지인지를 알려주는것을 (Port Number) 라 합니다. (아 예시가 조금 적절하지 않지만,,,) 실 사용 예 JDBC 과정중 1번은 IP번호를 의미 하며 2번은 포트번호를 의미한다. 포트번호 1521은 오라클프로그램
서버는 크게 물리적서버와 논리적 서버로 나눌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 HTML 생성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적인 Web Server와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DB는 논리적인 서버 이며 Web Server와 DB Server를 동작 시키는 물리적인 컴퓨터 자체는 물리적 서버 라고 한다.
Process(프로세서)는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컴퓨터 내에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유닛" 이다. 이는 중앙처리장치(CPU)를 뜻한다. Process(프로세서) = CPU 반면 Processor(프로세스)는 말 그대로 "절차(과정)" 입니다. 프로그램이 Memory와 PID(Process ID)를 할당 받은 상태 Thread(스레드)는 Process(프로세서)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Multi-Thread(멀티스레드)는 하나의 Process에서 여러개의 일을 수행할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https://neocities.org/ Neocities Free web hosting and tools that allow anyone to create a website. Join our community today! neocities.org (단! HTML,JavaScript,css등 프론트엔드 기술로만 구현 가능한 홈페이지 운영)
javascript에서 사용하는 비동기통신중 하나인 ajax 와 동일한 기능인 fetch fetch가 가장 최근에 나왔으며 사용이 편리 하다고 한다.
프로그래밍에서 보통 {} 단위를 코드블록이라고 한다. 명령문(Statement)의 집합 ex)
1. 리팩터링이란무엇인가? 리팩터링은외부 동작을 바꾸지 않으면서 내부 구조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변경하는 프로세스이다. * 리팩터링 시 중요한 점 소프트웨어를 보다 이해하기 쉽고, 수정하기 쉽도록 만드는 것, 겉으로 보이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리팩터링을 할 때는 기능을 추가해서는 안되고, 단지 코드의 구조에만 신경 써야 한다. 리팩터링은 가동 중인 프로그램을 취해서, 동작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빠른 속도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좀 더 많이 주어, 프로그램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한줄요약 : 소스코드를 가독성 있게 개선하는 것 출처: https://codereview.tistory.com/3 [Code Review]
병아리개발자Mr Jo
'web_모르는용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