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blog.naver.com/devch/220790632382
오라클 설치 후 외부접속이 안 될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접속을 허용합니다. 오라클이 설치 된 경로로 이동하여 listener.ora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수정하여야 합니다.
필자의 경우) C:\app\chhwang\product\11.2.0\dbhome_1\NETWORK\ADMIN\listener.ora
우선, 다음 그림은 수정 된 후의 캡쳐사진입니다.
HOST = 자신의컴퓨터이름
자신의 컴퓨터이름은 윈도우키 + Pause/Break 키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수정이 완료되었다면 리스너를 재시작 해야합니다. 먼저 커맨드라인창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합니다.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 "cmd"
여기까지가 오라클 외부접속 허용방법이었고, 그래도 안된다면 방화벽을 의심해보아야합니다. 방화벽이 On 되어있다면 해제 하여야 하는데요. 윈도우7 이상에서의 예로 고급 방화벽 설정창에서 해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어판 - Windows 방화벽을 클릭합니다.
방화벽창 좌측에 고급설정을 클릭합니다.
좌측 인바운드 규칙을 클릭 한 다음, 우측 새 규칙을 클릭합니다.
새 규칙창이 표시되면 포트를 체크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TCP/IP 통신방식을 선택하고 오라클 전용포트인 1521 포트를 입력 합니다.
해당 포트를 연결 허용 합니다.
도메인 / 개인 / 공용 모두 체크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필자의 경우 공용 네트워크에서 접속을 허용하지 않기 위해 체크를 꺼두었습니다.
인바운드 규칙의 이름을 정하고 마침을 클릭합니다. 최초 오라클 설치 후 별도의 작업이 없었다면 위와 같은 순서로 진행하시면 외부접속에 성공 할 수 있습니다.
'web_배우고익히고 > 8.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41강 데이터 딕셔너리 (0) | 2020.02.07 |
---|---|
Oracle 40강 View(뷰)의 의마와 생성 방법 (0) | 2020.02.07 |
Oracle 39강 유니온(UNION) (0) | 2020.02.07 |
Oracle 38강 오라클 OLD JOIN (0) | 2020.02.06 |
Oracle 37강 SELFJOIN (0) | 2020.02.06 |